티스토리 뷰

반응형

사실조사 전화 안내와 주의사항 관련 사진
사실조사 전화 안내와 주의사항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이 되면 관할 행정복지센터나 조사원에게서 전화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를 노린 보이스피싱이나 개인정보 탈취 전화도 늘어나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주민등록 사실조사 전화를 안전하게 확인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사실조사 전화는 왜 걸려올까?

 

전화 안내는 보통 다음과 같은 경우에 걸려옵니다.
- 비대면 조사 참여 요청
- 방문 조사 일정 조율
- 세대 정보 확인
- 중점조사 대상 안내
전화는 조사원 또는 행정복지센터 직원이 직접 걸며, 조사 목적과 소속을 명확히 밝힙니다.



안전한 전화 확인 절차

 

1. 발신 번호 확인
- 관할 행정복지센터나 시청·군청의 공식 번호인지 확인.
2. 본인 확인 요청 시 주의
- 주민등록번호 전체, 금융정보를 요구하면 즉시 통화 종료.
3. 의심스러우면 재통화
- 직접 검색한 공식 번호로 다시 전화해 동일한 내용인지 확인.



실제 안전 통화 예시

 

상황 정상 전화 의심 전화
발신 번호 관할 행정복지센터 대표 번호 휴대폰 번호, 발신 표시 없음
요청 내용 주소 확인, 조사 일정 안내 주민등록번호 전체, 계좌번호 요구
대응 방법 필요 시 일정 조율 후 참여 즉시 통화 종료 후 관할 센터 신고



 

 

전화로 조사 참여 가능한 경우

 

일부 고령자나 장애인의 경우, 간단한 전화 설문 방식으로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단, 이 경우에도 본인 확인은 최소한으로 하고, 신분을 명확히 밝힌 조사원과만 진행해야 합니다.



Q&A



Q1. 조사원 전화가 사기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발신 번호와 요청 내용을 확인하고,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관할 센터에 직접 문의하세요.

 

Q2. 전화 조사로 끝낼 수 있나요?

특수 상황을 제외하면 전화로만 마무리하지 않고, 비대면 또는 방문 조사를 병행합니다.

 

Q3. 전화로 주소를 말해도 되나요?

본인이 거주하는 주소는 이미 등록되어 있으므로 굳이 말할 필요 없습니다.

 

Q4. 모르는 번호는 아예 받지 않아도 되나요?

가능하면 받되, 안전 확인 절차를 반드시 거치세요.

 

Q5. 전화 조사 후 내용이 잘못된 경우는?

즉시 관할 행정복지센터로 연락해 수정 요청하세요.



마무리

 

주민등록 사실조사 전화는 행정 절차의 일부지만, 개인정보와 직결되기 때문에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발신 번호 확인 → 신분 확인 → 공식 번호로 재통화, 이 세 단계만 지키면 안전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