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당화혈색소와 당뇨 차이 | 개념·측정·진단 기준 한눈 비교
“당화혈색소가 높으면 당뇨인가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두 개념을 정의부터 측정 방법, 진단 기준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비교표로 쉽게 이해하세요.
1) 당화혈색소(HbA1c)란?
혈액 속 포도당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한 비율을 %로 나타낸 값입니다. 최근 2~3개월 평균 혈당을 반영하며, 하루 컨디션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측정법: 채혈 1회, 공복 불필요, 5분 내 결과 확인 가능.
2) 당뇨병이란?
혈당 조절 기능이 떨어져 혈당이 만성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원인에 따라 제1형, 제2형, 임신성 당뇨 등으로 나눕니다.
진단은 공복혈당·식후혈당·당화혈색소 등을 종합해 내립니다.
3) 차이점 5가지
- 개념: HbA1c는 ‘지표’, 당뇨병은 ‘질환’
- 측정 대상: HbA1c는 혈액 내 포도당 결합 비율, 당뇨병은 전반적 혈당 상태
- 기간 반영: HbA1c는 2~3개월 평균, 당뇨병은 시점 상관없이 고혈당 상태
- 진단 활용: HbA1c는 진단·관리 지표, 당뇨병은 진단명
- 변동 요인: HbA1c는 빈혈·혈액질환 등에도 영향, 당뇨병은 생활습관·유전 등 영향
4) 비교표
구분 | 당화혈색소(HbA1c) | 당뇨병 |
---|---|---|
정의 | 적혈구 내 혈당 결합 비율 | 혈당이 만성적으로 높아진 질환 |
측정 | 채혈 1회, % 단위 | 혈액검사·소변검사·문진 종합 |
기간 | 최근 2~3개월 평균 반영 | 기간 제한 없음 |
진단기준 | 6.5% 이상 → 당뇨 가능성 | 공복혈당 ≥ 126mg/dL 등 |
활용 | 진단·경과 추적 지표 | 진단명 및 치료 필요 여부 |
5) 관계와 활용
당화혈색소 수치가 높으면 당뇨병 가능성이 있지만, 단일 수치로 확정하지 않습니다. 혈당검사, 증상, 병력과 함께 종합 판단이 필요합니다.
활용 팁: HbA1c는 ‘중간고사 성적표’, 당뇨 진단은 ‘학기 성적표’로 비유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Q1. HbA1c만 높아도 당뇨인가요?
아니요. 다른 혈당검사와 증상을 함께 봐야 합니다.
Q2. 공복혈당은 정상인데 HbA1c가 높을 수 있나요?
있습니다. 식후혈당이 자주 오르는 경우 평균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Q3. HbA1c는 몇 달마다 검사하나요?
대체로 3개월 간격으로 검사해 변화를 확인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당뇨예방
- 혈당관리
- 근조문구
- 혈당낮추는방법
- 결혼식 화환 가격
- 리본문구
- 브랜드컬러
- 로고리본
- 식중독 예방
- 정부지원
- 혈당체크
- 개업식
- 식후걷기
- 화환 당일 배달
- 당화혈색소
- 라운드화환
- 거북목 예방
- 복지
- HbA1c
- 청년복지
- 축하화환
- 당일배송
- 2025여름
- 스탠드화환
- 프리미엄화환
- 결혼식 축하 문구
- 화환주문
- 혈당수치
- 혈당검사
- 금박리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