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당화혈색소와 당뇨 차이
당화혈색소와 당뇨 차이

 

당화혈색소와 당뇨 차이 | 개념·측정·진단 기준 한눈 비교

“당화혈색소가 높으면 당뇨인가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두 개념을 정의부터 측정 방법, 진단 기준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비교표로 쉽게 이해하세요.

1) 당화혈색소(HbA1c)란?

혈액 속 포도당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한 비율을 %로 나타낸 값입니다. 최근 2~3개월 평균 혈당을 반영하며, 하루 컨디션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측정법: 채혈 1회, 공복 불필요, 5분 내 결과 확인 가능.

2) 당뇨병이란?

혈당 조절 기능이 떨어져 혈당이 만성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원인에 따라 제1형, 제2형, 임신성 당뇨 등으로 나눕니다.

진단은 공복혈당·식후혈당·당화혈색소 등을 종합해 내립니다.

3) 차이점 5가지

  • 개념: HbA1c는 ‘지표’, 당뇨병은 ‘질환’
  • 측정 대상: HbA1c는 혈액 내 포도당 결합 비율, 당뇨병은 전반적 혈당 상태
  • 기간 반영: HbA1c는 2~3개월 평균, 당뇨병은 시점 상관없이 고혈당 상태
  • 진단 활용: HbA1c는 진단·관리 지표, 당뇨병은 진단명
  • 변동 요인: HbA1c는 빈혈·혈액질환 등에도 영향, 당뇨병은 생활습관·유전 등 영향

4) 비교표

구분 당화혈색소(HbA1c) 당뇨병
정의 적혈구 내 혈당 결합 비율 혈당이 만성적으로 높아진 질환
측정 채혈 1회, % 단위 혈액검사·소변검사·문진 종합
기간 최근 2~3개월 평균 반영 기간 제한 없음
진단기준 6.5% 이상 → 당뇨 가능성 공복혈당 ≥ 126mg/dL 등
활용 진단·경과 추적 지표 진단명 및 치료 필요 여부

5) 관계와 활용

당화혈색소 수치가 높으면 당뇨병 가능성이 있지만, 단일 수치로 확정하지 않습니다. 혈당검사, 증상, 병력과 함께 종합 판단이 필요합니다.

활용 팁: HbA1c는 ‘중간고사 성적표’, 당뇨 진단은 ‘학기 성적표’로 비유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Q1. HbA1c만 높아도 당뇨인가요?

아니요. 다른 혈당검사와 증상을 함께 봐야 합니다.

Q2. 공복혈당은 정상인데 HbA1c가 높을 수 있나요?

있습니다. 식후혈당이 자주 오르는 경우 평균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Q3. HbA1c는 몇 달마다 검사하나요?

대체로 3개월 간격으로 검사해 변화를 확인합니다.

※ 본 글은 일반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혈당·HbA1c 수치가 높다면 반드시 의료진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